동물/반려동물10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FCV), 고병원성전신성칼리시바이러스(VS-FCV)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FCV)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FCV)는 전 세계적으로 고양이에게 흔한 바이러스 감염증입니다. 고양잇과 동물을 숙주로 삼는 칼리시바이러스과의 바이러스로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을 일으킵니다. 허피스 바이러스와 함께 고양이 상부 호흡기 감염증의 큰 비중을 나타냅니다. FCV는 모든 연령과 품종의 고양이가 걸릴 수 있고 바이러스 특성상 보호소나 여러 마리의 고양이가 있는 환경에 있는 고양이들에게 더 쉽게 전파됩니다. 원인 FCV는 감염된 고양이와의 직접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음식, 물그릇, 침구, 화장실과 같은 오염된 물체를 통해 퍼집니다. 또는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고양이를 쓰다듬은 사람의 손을 통해서도 감염이 가능합니다. 증상과 진단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재채기와 콧물, 발열, 구강.. 2024. 4. 15. 고양이 원인불명 신경·근육병증 고양이 원인불명 신경·근육병증 최근 원인 모를 이유로 고양이들이 근육병 증세를 보이고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르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SNS 등으로 집사님들이 증상과 함께 사료, 모래 등의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증상은 식욕감퇴, 잘 일어나지 못하거나 검붉은 소변을 보는 경우 등입니다. 증상을 보인 고양이의 보호자분 게시글에 따르면 무기력함과 걸을 때 뒷다리에 힘이 빠지고 뒷다리 근육이 떨리는 증상, 심한 경우 움직이지 못하고 옆으로 축 늘어져 있는 증상을 보였다고 합니다. 이 보호자는 증상이 같거나 비슷한 경험이 있는 보호자들의 연락을 부탁하며 데이터 취합을 위해 게시글 공유을 부탁했습니다. 피해 고양이 집사님 게시글 SNS https://www.instagram.com/kangl.. 2024. 4. 15. 앵무새 Parrots 먹이 특징 특징 앵무새는 밝은 색의 깃털, 독특한 부리, 사람의 말을 흉내 내는 능력으로 유명한 새입니다. 호주, 남미, 아프리카 등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발견되며 일부 종은 온대 지역에서도 발견됩니다. 앵무새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사회적 동물이며 특히 먹이를 먹거나 앉아서 휴식을 취할 때 종종 큰 무리를 형성합니다. 굉장히 많은 종이 있는데 그 중 말할 수 있는 종보다 말할 수 없는 종이 더 많으며 개체에 따라 사람 말을 흉내 내는 정도가 다릅니다. 수명은 대형 앵무일수록 긴데 중소형 앵무새의 평균 수명은 20~30살이며 대형 앵무새의 수명은 70~80살입니다. 다른 조류보다 지능이 높은데 인간의 2~3살 아이의 지능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먹이와 천적 과일, 견과류, 씨앗, 곤충, 작은 .. 2023. 3. 24. 햄스터 Hamster 수명 먹이 종류 외모 햄스터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약 4-7인치(10-18cm)까지 자랍니다. 햄스터는 크고 둥근 귀와 작고 구슬 모양의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갈색, 회색, 흰색, 검은색 등 다양한 털색과 패턴이 있으며 털 길이도 다양합니다. 성격과 습성 햄스터는 장난스럽고 호기심 많은 성격으로 유명합니다. 그들은 뛰고 노는 것을 좋아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정신적 자극이 필요한 활동적인 동물입니다. 만약 반려동물로 집에 들인다면 장난감, 운동용 쳇바퀴 또는 뛰어다닐 공을 제공하는 것이 활동적이고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햄스터는 원래 굴을 파고 사는 동물이며 터널을 만들고 침구에 숨는 것을 좋아합니다. 파묻힐 수 있는 충분한 재료와 장난감을 제공하면 정신적으로 안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 2023. 3. 10. 고양이 양치질 입냄새 스케일링 고양이의 이갈이와 입냄새 고양이는 생후 3~4개월 정도가 되면 앞니부터 빠지기 시작하여 생후 6~7개월 즈음에 이갈이를 마치며 늦더라도 1년 전에 끝납니다. 그래서 이 시기의 보호자들은 드물지만 바닥에 빠져 있는 이빨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는 유치를 삼키는 습성이 있으므로 매우 드문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이빨은 유치 옆에 영구치가 나 있는데 유치가 빠지면 옆에 위치한 영구치가 자리를 잡는 방식입니다. 가끔 잔존유치라고 하며 유치가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치열을 망가뜨리거나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갈이를 하는 동안 잇몸에서 피가 날 수도 있고 유치가 흔들리기 때문에 잇몸이 매우 약한 시기입니다. 때문에 일시적으로 입냄새가 나기도 하지만 점차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이갈이 .. 2023. 2. 17. 고양이 범백(범백혈구 감소증)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은 고양이 파보 바이러스(Feline parvo virus, FPV)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장염으로 범백, 고양이 전염성 장염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 질병에 감염된 동물들에게서 백혈구가 현저히 감소하는 증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범백혈구 감소증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감염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의 체액, 배설물뿐만 아니라 매개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더라도 매개체와 접촉한 벼룩이나 빈대, 침구류, 음식, 의류, 신발 등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FPV바이러스는 개 파보 바이러스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고양이에서 개로 전염되지는 않으며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노출 후 4-6일 내에 발생하는데 2-14일 내에 나타날.. 2023. 1. 1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