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은 고양이 파보 바이러스(Feline parvo virus, FPV)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장염으로
범백, 고양이 전염성 장염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 질병에 감염된 동물들에게서 백혈구가 현저히 감소하는 증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범백혈구 감소증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감염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의 체액, 배설물뿐만 아니라 매개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더라도
매개체와 접촉한 벼룩이나 빈대, 침구류, 음식, 의류, 신발 등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FPV바이러스는 개 파보 바이러스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고양이에서 개로 전염되지는 않으며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노출 후 4-6일 내에 발생하는데 2-14일 내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FPV바이러스는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적절한 환경 내에서 최대 1년까지 생존 가능합니다.
또한 이 질병에서 회복한 동물의 배설물 등에 최대 6주까지 바이러스가 남아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길에서 구조한 고양이를 입양하는 경우 꼭 동물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고 필수 예방접종을 해야 합니다.
증상
범백에 걸린 동물의 증상은 혈변과 설사, 탈수, 구토가 대표적이며
빈혈과 영양실조, 우울증, 무기력, 식욕 부진, 발열 등이 있고 물을 오랫동안 마시기도 합니다.
말기 증상으로는 저체온증, 패설성 쇼크, 파종성 혈관 내 응고 등이 있습니다.
몸이 아픈 고양이는 자신만의 공간으로 숨어 나오지 않거나 장시간 누워있는 모습을 함께 보입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고양이는 면역 체계에 문제가 생겨 이차 감염에 쉽게 노출되는데
때문에 범백으로 사망한 고양이의 주된 사망 원인은 이차 감염 및 설사로 인한 탈수가 주를 이룹니다.
생후 두 달 이내의 고양이는 95%의 치사율을 보이며
두 달 이후의 고양이가 치료를 받을 경우 60-70%,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100% 사망에 이릅니다.
성묘의 경우 치료를 받을 경우 10-20%,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85%의 치사율을 보입니다.
노묘는 치사율이 일반 성묘보다 더 높습니다.
치료
보통 감염이 되면 24시간 내에 사망할 수 있을 정도로 치사율이 높아 바로 치료가 필요합니다.
전체적으로 저하된 백혈구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혈 수혈을 하거나
탈수에 의한 패혈증을 막기 위해 항생제와 비타민 등이 포함된 수액을 주사합니다.
전염성이 매우 강한 질병이기 때문에 동물병원에 입원시킨 후 격리하여 치료합니다.
예방
고양이 범백은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백신으로 예방하는데 여러 다른 질환과 혼합된 백신으로 가능합니다.
여러 질병에 대한 방어능력이 크기 때문에 모든 고양이가 이 백신을 맞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러나 임신 중인 고양이는 새끼에게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예방 접종을 하지 않습니다.
매개체와 접촉한 의류 등 다른 매개를 통한 감염도 가능할 정도로 감염성이 높은 질병이기 때문에
길에 사는 고양이뿐만 아니라 집에 사는 고양이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외출 후 보호자는 늘 위생에 신경 써야 합니다.
3종 종합백신은 생후 6-8주 고양이에게 처음 접종을 시작합니다.
1차 접종 후 3주 후에 2차, 다시 3주 후에 3차까지 접종하고
이후에는 매년 한 번씩 접종하면 됩니다.
이 종합백신은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과 고양이 전염성 비기관지염, 칼리시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동물 >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햄스터 Hamster 수명 먹이 종류 (0) | 2023.03.10 |
---|---|
고양이 양치질 입냄새 스케일링 (0) | 2023.02.17 |
토끼 Rabbit 토끼 키우기 수명 (0) | 2022.09.15 |
견종 소개 FCI 10그룹 분류 6그룹-10그룹 (0) | 2022.09.05 |
견종 소개 FCI 10그룹 분류 1그룹-5그룹 (0) | 2022.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