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종 분류 목적과 견종 표준
개는 종류와 상관없이 모두 예쁘고 사랑스러운 존재입니다.
그런 의미에서는 견종을 나누고 견종 표준을 정하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견종에 따라 특성이 다르고 이에 맞는 반려견 양육법 또한 다릅니다.
반려견을 건강하게 키우고 성숙한 반려견 문화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순수 혈통과 견종 표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은 중요합니다.
세계애견연맹과 회원국을 중심으로 많은 브리더들이 혈통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세계애견연맹(FCI)은 352 견종에 대한 견종 표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국의 브리더들에게 브리딩 지침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한국도 회원국 중 하나로 한국애견연맹이 FCI가 승인한 견종 표준에 근거하여 혈통서 발급, 견종 표준서 및 전문 교재 발간 등 혈통 보존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FCI의 10그룹 분류법
[제1그룹] 쉽 독 & 캐틀 독
Sheepdogs and Cattledogs(*Swiss Cattledogs 제외)
제1그룹에 속한 쉽 독, 캐틀 독은 과거 가축을 돌보기 위해 길러진 품종으로 현재는 목양, 목축뿐만 아니라 마약 탐지견, 구조견으로도 활약하고 있습니다. 매우 영리하고 소나 양 등 가축의 움직임을 통제하거나 타 생명체의 움직임에 예민한 능력이 있습니다. 매우 활동적이고 많은 활동량을 필요로 합니다.
저먼 셰퍼드, 셰틀랜드 쉽독, 웰시코기 펨브로크, 보더콜리 등이 1그룹에 속합니다.
[제2그룹] 핀셔 & 슈나우저(몰로세르 견종) & 스위스 마운틴 & 캐틀 독
Pinscher and Schnauzer(Molossoid) and Swiss Mountain and Cattle dogs
제2그룹에 속한 개들은 1그룹의 목양견과 달리 농장이나 가축을 지키는 가드견의 역할을 주로 하였고 경비견뿐만 아니라 인명구조견으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튼튼한 골격과 호전적인 성향을 갖고 있으며 체력이 좋고 활동량이 많아 지속적인 훈련과 운동을 필요로 합니다.
도베르만, 그레이트 댄, 로트바일러, 불독 등이 2그룹에 속합니다.
[제3그룹] 테리어
Terriers
제3그룹에 속한 개는 과거 농장이나 집에서 들쥐나 여우 등 작은 동물을 쫒거나 잡던 견종입니다. 승부욕이 강하며 밝고 활력이 넘칩니다. 땅파기와 짖는 것을 좋아하고 특히 작은 생명체에 대한 경계심이 큽니다. 보호자 외 타인에게 지나친 경계심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사회화 훈련이 필요합니다.
베들링턴 테리어, 잭 러셀 테리어, 요크셔테리어 등이 3그룹에 속합니다.
[제4그룹] 닥스훈트
Dachshunds
제4그룹의 개는 닥스훈트로 스탠더드, 미니어처, 레빗과 같이 몸의 크기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뉘거나 스무스 헤어, 와이어 헤어, 롱헤어와 같이 털 길이로 나뉩니다. 땅굴 사냥을 하던 견종으로 때문에 다리가 짧으며 지상에서도 냄새를 맡고 사냥으로 쓰러진 동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대체로 다정한 성격으로 크게 공격성을 드러내지 않는 차분한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제5그룹] 스피츠 & 프리미티브 타입
Spitz and Primitive types
제5그룹의 개는 주로 농장이나 들에서 수레를 끌거나 사람을 도와 일하는 견종입니다. 프리미티브 타입은 원시적인 체형의 고대 토착견을 의미합니다.
이 그룹의 개들은 힘이 세고 늑대의 습성이 가장 많이 살아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스피츠라는 이름처럼 뾰족한 주둥이와 곧게 서 있는 귀를 갖고 있습니다. 충성심이 있고 사냥 본능이 강하며 활동량이 많습니다.
진돗개, 저먼 스피츠, 사모예드, 시베리안 허스키 등이 5그룹에 속합니다.
'동물 >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양치질 입냄새 스케일링 (0) | 2023.02.17 |
---|---|
고양이 범백(범백혈구 감소증) (0) | 2023.01.18 |
토끼 Rabbit 토끼 키우기 수명 (0) | 2022.09.15 |
견종 소개 FCI 10그룹 분류 6그룹-10그룹 (0) | 2022.09.05 |
반려동물종합관리사 자격증 및 시험 (0) | 2022.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