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물/야생동물

국제자연보전연맹(IUCN)과 적색목록(Red List)

by taletale 2023. 1. 10.
728x90

국제자연보전연맹 로고
IUCN

국제자연보전연맹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국제자연보전연맹은 세계에서 가장 큰 환경 네트워크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환경 파괴가 심각한 문제로 나타나자 세계 각국이 파리에서 회담을 열었고 국제연합(UN)의 지원을 받아 1948년에 설립되었습니다.

 

본부는 유럽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건물 중 하나로 스위스 글란드(Gland)에 위치합니다.

한국은 환경부와 5개 단체가 회원으로 가입해 있습니다.

 

목표

국제자연보전연맹은 자연을 소중히 여기고 보전하는 정의로운 세상을 비전으로 두고 있습니다.

또한 자연의 다양성을 보존하고 천연자원의 지속 가능한 사용을 보장하도록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장려하며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하는 일

국제자연보전연맹은 정부, NGO, 과학자, 기업, 지역 사회, 토착민 단체 등 많은 사람들이 협력하여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중립적인 공간과 소속을 제공합니다.

 

자원과 자연을 관리하고 동식물 멸종방지를 위한 국제 간의 협력 증진을 도모하고 야생동식물의 서식지나 자생지 등을 보호하기 위해 자연보호 전략을 마련하고 이를 회원국에 배포합니다.

 

IUCN은 전 세계적으로 방대하고 다양한 보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이를 통해 최신 과학과 지역 사회의 전통 지식을 결합하여 서식지 손실을 줄이고 생태계를 복원하며 사람들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적색목록
IUCN Red List 홈페이지

국제자연보호연맹 적색목록

INCN REDLIST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s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적색목록은 IUCN이 2~5년을 주기로 발표하는 생물 다양성에 관한 보고서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 보고서가 정식 명칭입니다. 위험 신호를 의미하는 빨간색을 사용하여 레드리스트라고 불립니다.

 

1964년을 시작으로 동물, 식물, 균류 등 글로벌 멸종 위험 상태에 대한 세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소스로 발전했습니다.

 

적색목록 홈페이지에서 동식물을 검색하면 분포 및 적색목록 범주를 알 수 있습니다.

 

 

중요성과 역할

적색목록은 세계 생물 다양성의 건강 상태를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적색목록은 범위, 인구 규모, 서식지 및 생태, 사용 또는 거래, 위협 및 보존 조치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우리가 생존하는 데 필요한 천연자원을 보호하고 보존 및 정책 변화를 위한 조치를 알리고 촉매 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정부기관, 야생 동물 부서, 보존 관련 비정부 기구, 천연자원 기획자, 교육기관, 학생 등 다양한 위치에서 적색목록을 사용하는데 복구 노력이 필요한 종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보호해야 할 주요 장소와 서식지를 식별하여 보존 의제에 집중하는 데에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우리가 유지해야 할 미래의 환경을 보존하고 이를 위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평가 현황

IUCN은 적색목록을 통해 새롭게 인식된 종뿐만 아니라 일부 기존 종의 상태를 재평가하기도 합니다.

때문에 보존 노력을 통해 여러 종의 하향(개선) 정도가 발표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재 생물 다양성은 전체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현재 IUCN 적색 목록에는 150300 종이 넘는 종이 있으며 양서류의 41%, 상어와 가오리의 37%, 산호의 36%, 침엽수의 34%, 보유류의 13%, 조류의 13%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적색목록 범주

적색목록 내에서 종은 '절멸, 멸종 우려, 낮은 위기, 기타 등급'과 같은 4개의 큰 그룹과 

'절멸, 야생 절멸, 절멸 위급, 절멸 위기, 취약, 준 위협, 최소 관심, 정보 부족, 미평가'와 같은 세부적인 9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위기의 속도, 개체의 크기, 지질학 분포 지역, 개체와 분포의 정도로 분류합니다. 

 

절멸- 야생 절멸, 절멸

멸종 우려-  위급, 위기, 취약

낮은 위기- 준위협, 최소 관심

기타 등급- 정보 부족, 미평가

 

 

적색목록: 절멸

절멸(EX): 개체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음

 

적색목록: 야생 절멸

야생 절멸(EW): 보호시설에서만 생존하고 있거나 원래의 서식지역이 아닌 다른 곳에서만 인위적으로 유입되어 생존

 

적색목록: 절멸 위급

절멸 위급(CR): 야생에서 절멸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음

 

적색목록: 절멸 위기

절멸 위기(EN): 야생에서 절멸할 가능성이 높음

 

적색목록: 취약

취약(VU): 야생에서 절명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높음

 

적색목록: 준 위협

준 위협(NT): 가까운 장래에 야생에서 멸종 우려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높음

 

적색목록: 최소 관심

최소 관심(LC): 위험이 낮고 위험 범주에 도달하지 않음

 

적색목록: 정보 부족

정보 부족(DD): 멸종 위험에 관한 평가 자료 부족

 

적색목록: 미평가

미평가(NE): 아직 평가 작업을 거치지 않음

 

 

 

 

<위키백과(wikipedia), 두산백과(doopedia), IUCN, IUCN REDLIST 참고>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