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물/야생동물

담비 Marten 담비 특징 사냥

by taletale 2022. 9. 7.
728x90

 

 

담비

 

담비

<동물계-척삭동물문-포유강-진수하강-식육목-족제비과-담비속-담비종>


담비의 특징 및 먹이

담비는 보통 몸길이 35~60cm, 꼬리 길이 12~37cm, 무게 2~4.5kg 정도로 작은 고양이와 비슷하고 삵보다 크며 족제비보다 2~3배 더 큽니다. 노란 목도리 담비는 북반구에 분포하는 담비류 중 가장 큰 덩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약 7~8종으로 분류되며 털 색깔과 계절별 색깔 차이가 다릅니다.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돌아다니며 참새, 메추라기, 꿩, 비둘기, 따오기 등의 조류나 쥐, 노루, 다람쥐, 토끼, 개구리 등의 작은 동물을 잡아먹습니다. 

그러나 노루, 고라니, 멧돼지와 같은 비교적 담비보다 덩치가 큰 동물도 사냥하며 머루, 다래, 버찌와 같은 열매도 먹습니다. 유연하고 날쌘 편이라 말벌도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노란 목도리 담비는 한반도에 서식하는 종인데 2~6마리 정도로 무리를 지어 다니며 몰이사냥을 하기도 하고 멧돼지나 고라니 새끼는 혼자서도 사냥합니다. 페럿이나 족제비, 오소리 등 다른 족제비과 동물처럼 사냥 기술이 뛰어나고 이빨이 날카로워 급소를 물어뜯으면 덩치가 큰 동물들이 쓰러집니다.

 

 

 

보존 상태

2021년 기준 대한민국 환경부에서 담비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했습니다.

1960년대까지는 남한 전역에 분포했지만 쥐약 및 모피를 위한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현재는 산악지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한반도에는 노란 목도리 담비, 검은 담비 등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노란 목도리 담비는 호랑이와 같은 중대형 육식동물이 사라진 한국에서 최상위 포식자가 되어 중소형 잡식동물과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동물이 되었습니다.

 

무분별한 개발과 등산객 증가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거나 인간과 시간적, 공간적 동선이 겹치게 되면서 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출현 빈도도 낮아지고 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어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않을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

 

 

담비와 족제비, 페럿

담비는 족제비보다 비교적 큰 덩치를 갖고 있으며 울창한 산악지대에 살기 때문에 사람이 마주하기 힘든 동물입니다.

반면 족제비는 냇가나 낮은 산에 서식하고 민가의 닭장에 들어오기도 하는 등 흔히 볼 수 있는 동물입니다.

페럿은 족제비과 동물 중 토끼나 쥐를 잡기 위해 가축화되어 반려동물이 되었으며 수컷은 40~50cm 정도의 크기로 담비보다 많이 작습니다.

 

담비가 비교적 가장 크고 두꺼운 꼬리와 튼실한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페럿이 가장 날렵한 얼굴과 몸을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족제비의 털은 담비보다 거친 편이고 담비의 털이 비교적 더 부드럽습니다.

담비족제비페럿
노란목도리담비, 족제비, 페럿

(이미지 출처: Unsplash, Wikimedia Commons)

 

 

300x250

'동물 > 야생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갈 Scorpion 특징 먹이 탈피  (0) 2022.10.05
순록 Reindeer 특징 크기  (0) 2022.09.29
뱀 Snake 종류 특징 상징  (0) 2022.09.26
흑표범 Black Panther 특징  (0) 2022.09.21
고래 Whale 고래 종류 특징 소개  (0) 2022.08.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