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표범
<동물계-척삭동물문-포유강-식육목-고양이과-표범아과-표범속-표범종>
표범, 흑표범의 크기 및 수명
흑표범은 고양잇과 동물 중 표범의 돌연변이입니다. 즉 흑표범이나 흑재규어와 같은 아종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멜라닌 색소 과다로 인해 검은색 털을 지니게 된 표범입니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표범의 경우 몸길이는 140cm~160cm 체고는 60cm~70cm 정도입니다.
고양잇과 동물 중 호랑이, 사자, 재규어, 퓨마 다음으로 덩치가 크며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좋습니다.
수명은 20년~25년 정도이며 중국 남서부, 미얀마, 자바섬, 인도 등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에 서식합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냐 등 사바나 지역은 탁 트인 환경으로 인해 흑표범의 색이 눈에 띄어 생존이 어려워서 개체 수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며 아프리카 내 열대우림 지역인 콩고에서는 볼 수 있습니다.
흑표범과 미디어
소설과 애니메이션 정글북에 나오는 캐릭터 '바기라'나 마블 코믹스의 히어로 '블랙 팬서'의 모티브가 된 동물이 흑표범입니다.
흑표범은 표범 특유의 눈빛과 검은색 털을 가진 조용하고 강한 힘의 이미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많은 매체에서 흑표범을 캐릭터화 하거나 모티브 삼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표범의 먹이와 힘
주로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표범의 경우 가젤, 임팔라, 영양, 새끼 물소, 오가피, 땅돼지 등을 잡아먹습니다.
흑표범의 경우 열대우림과 같은 우거진 숲에 서식하므로 토끼, 산양, 다람쥐, 사슴, 새 등을 먹습니다.
나무를 잘 타기에 원숭이와 같은 영장류를 사냥하기도 하고 성격이 사나운 아프리카 비단구렁이나 코브라도 사냥합니다.
까다롭지 않은 식성을 가져서 골고루 잘 먹습니다.
표범은 단독 생활을 하고 덤불, 바위틈, 나무 위 등에서 휴식을 취하다가 저녁부터 밤까지 사냥을 합니다.
몸을 낮게 낮추어 매복하고 서서히 다가가다가 5m 이내에 다다르면 도약해서 먹잇감을 덮칩니다.
호랑이도 은신하여 먹잇감을 덮치지만 표범은 호랑이에 비해 몸집이 작기 때문에 은신하기에 더 좋습니다. 호랑이가 큰 덩치와 강력한 앞발 힘을 내세우며 사냥을 하는 반면 표범은 매우 치밀하고 교묘한 방법과 함께 강한 턱 힘으로 사냥한다고 알려져 있어 암살자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일제강점기 기록에 따르면 교묘한 은신술로 숨어 사냥꾼을 추적하다가 갑자기 덮쳐 급소를 공격했다고 전해집니다.
먹이를 빼앗기지 않고 보관하기 위해 먹이를 물고 나무 위에 올려놓는데 이 때문에 30kg이 넘는 영양 등의 사체가 나무 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거운 무게를 물고 나무 위로 올라가는 것만 봐도 표범의 무는 힘이 아주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흔히 치악력이라고 부르는 교합력은 두개골의 추산치로 최대 악력을 계산하는데 동물의 체중 대비 교합력 값을 교합력 지수(Bite force quotient)라고 합니다.
현재 알려진 교합력 지수로 비교하자면 표범이 사자나 하이에나, 치타, 호랑이보다 지수가 높아 굉장히 강한 턱 힘, 무는 힘을 가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표범의 번식
표범의 임신기간은 90~105일이고 한 번에 2~4마리 많게는 6마리까지 낳습니다.
새끼 표범은 9~10일쯤 눈을 뜨고 5개월쯤 되면 몸집도 어미만큼 커집니다.
표범은 혼자 생활하므로 1년 정도가 지나면 독립을 하게 되고 3년이 지나면 짝을 찾을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표범의 분류와 한반도의 표범
표범은 현재 9가지의 아종으로 나뉩니다.
인도차이나 표범(동남아시아의 인도차이나 반도에 서식)
인도 표범(인도, 네팔 남부, 방글라데시 북부에 서식)
북중국 표범(중국에 서식)
스리랑카 표범(스리랑카에 서식)
자와 표범(자와 섬에 서식)
아무르 표범(러시아 극동, 중국 북부, 한반도에 서식)
아프리카 표범/잔지바르 표범(아프리카에 서식)
페르시아 표범(서아시아에 서식)
아라비아 표범(아라비아 반도에 서식)
이 중 한반도와 만주, 러시아 극동지방에서 서식하는 아무르 표범은 한국표범, 극동 표범과 같은 이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호랑이의 무늬와 달리 점 모양이 매화꽃을 닮아 매화범이라 불렸는데 과거에는 한반도에서 호랑이보다 많은 수가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시기 일본의 무자비한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했으며 한국전쟁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더욱 수가 줄었습니다.
현재 아무르 표범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보호를 받고 있는 종입니다.
간혹 표범의 발자국이나 나무 위에 올려진 사체와 함께 큰 고양잇과 동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고 보고되나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아 현재 우리나라에 표범이 서식하는지에 대한 여부는 불확실합니다.
<위키백과(wikipedia), 나무위키(namu.wiki), 두산백과(doopedia)참고>
'동물 > 야생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갈 Scorpion 특징 먹이 탈피 (0) | 2022.10.05 |
---|---|
순록 Reindeer 특징 크기 (0) | 2022.09.29 |
뱀 Snake 종류 특징 상징 (0) | 2022.09.26 |
담비 Marten 담비 특징 사냥 (0) | 2022.09.07 |
고래 Whale 고래 종류 특징 소개 (0) | 2022.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