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물/야생동물

아르마딜로 Armadillo 특징 먹이

by taletale 2022. 10. 11.
728x90

아르마딜로
tree banded armadillo. zoomontana.org

아르마딜로

<동물계-척삭동물문-척삭동물아문-포유강-수아강-진수하강-빈치상목-피갑목>


크기 및 외모

아르마딜로는 딱딱한 등딱지로 덮여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대부분 머리와 꼬리까지 길게 덮여 있고 발이나 복부와 같은 곳은 털이 나 있으며 이빨은 작지만 많습니다. 다리는 짧은 편이지만 빠르게 움직일 수 있고 앞발 강한 발톱이 있어 재빠르게 땅을 파고 몸을 숨기거나 집을 만드는데 유용하게 사용합니다.

 

적에게 공격을 당할 때 굴을 파고 들어가거나 멀리 도망갈 수 없을 경우 몸을 둥글게 말고 다리를 숨겨 몸을 보호합니다.

남미에 거주하는 세띠아르마딜로는 몸을 완전히 공처럼 만들 수 있고 그 외에 다른 종은 대부분 다리나 꼬리는 조금씩 노출되곤 합니다.

 

눈은 작고 입은 길게 뻗어 있어 쥐와 비슷한 모습입니다. 시각보다 청각과 후각이 발달되어 땅 속의 먹이를 잘 찾을 수 있습니다. 

 

몸의 크기와 무게는 종마다 다양한데 작은 종인 애기아르마딜로는 크기 12-15cm, 80-100g 정도이며, 큰 종인 왕아르마딜로는 75-100cm, 45-60kg 정도입니다.

 

 

종과 서식지

아르마딜로는 20종이 알려져 있으며 남방긴코아르마딜로, 아홉띠아르마딜로, 여섯띠아르마딜로, 왕아르마딜로 등이 있습니다. 사는 곳뿐만 아니라 등딱지가 접히는 부분을 띠로 불러 그 개수를 이름에 넣는 것이 특징입니다.

북아메리카 남부지방에서부터 남아메리카 아르헨티나에 분포하며 초원이나 반사막지대, 다우림 지역에 서식합니다.

 

 

먹이

아르마딜로는 야행성으로 밤에 사냥을 하는데 가끔 낮에도 활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곤충이나 지렁이와 같은 무척추동물, 작은 척추동물, 죽은 고기, 나무뿌리 등을 먹습니다. 같은 빈치목에 속하는 개미핥기와 비슷한 혀를 갖고 있어 점액이 묻어 있는 긴 혀로 곤충을 핥아먹습니다.

 

 

번식과 수명

아르마딜로의 임신 기간은 종에 따라 다른데 긴털아르마딜로의 경우 60-65일, 아홉띠아르마딜로의 경우 120일이며 한 번에 2-12마리를 낳습니다. 일부 종은 한 배에 가진 새끼의 성별이 모두 같은 일란성입니다.

새끼는 등딱지가 부드러운데 때문에 어미의 각별한 보호가 필요합니다. 새끼의 등딱지는 2-3주가 지나 성장하면서 딱딱하게 굳습니다.

 

 

사람과 아르마딜로

아르마딜로는 체온이 낮아 한센병 원인균을 보유하고 있을 확률이 있으며 이 때문에 남미에서 유해동물로 분류됩니다. 한센병은 피부 및 점막, 안구에 발진과 함께 염증을 일으켜 피딱지와 출혈을 보이고 피부와 감각을 잃거나 과하게 느끼게 하는 병으로 나병, 문둥병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한편 과거 남미에서는 아르마딜로의 등껍질로 악기를 만들기도 하고 닭고기처럼 맛이 좋아 먹기도 했다고 하나 현재는 몇몇 종을 제외한 대다수의 아르마딜로는 멸종위기종이라서 함부로 죽일 수 없습니다.  

 

 

아르마딜로와 천산갑

천산갑은 딱딱한 골질과 몸을 둥글게 만드는 특징으로 인해 아르마딜로라는 오해를 받곤 합니다.

천산갑과 아르마딜로 둘 다 등딱지를 가진 포유류이지만 천산갑은 빈치목이 아닌 유린목으로 분류합니다.

아르마딜로는 띠모양의 딱지가 등을 덮고 있고 천산갑은 큰 솔방울과 비슷한 경화된 비늘 조각으로 몸이 덮여 있습니다. 

몸을 둥글게 말았을 때 비늘이 날카롭게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아르마딜로보다 몸을 더 잘 보호할 수 있습니다.

 

아르마딜로
아르마딜로
천갑산
천갑산

또한 천산갑은 아르마딜로보다 몸에서 꼬리까지 이어지는 부분이 더 두껍게 연결되어 있고 꼬리도 더 튼튼하게 생겼습니다. 때문에 종종 새끼를 꼬리 위에 올려놓고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천갑산과 새끼 천갑산
어미꼬리에 올라탄 새끼 천산갑(boredpanda.com)

 

 

<위키백과(wikipedia), 나무위키(namu.wiki), 두산백과(doopedia)참고>

 

300x250

'동물 > 야생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너구리 Platypus 특징 외모  (0) 2022.12.20
넓적부리황새 Shoebill 특징 먹이  (0) 2022.12.14
전갈 Scorpion 특징 먹이 탈피  (0) 2022.10.05
순록 Reindeer 특징 크기  (0) 2022.09.29
뱀 Snake 종류 특징 상징  (0) 2022.09.26

댓글